+

 

 

 

   

 

 

 

 

 

 

 

 

 

 

 

 

 

 

 

 
   

ABOUT
BOOK

AUTHOR


SHOP

 

ABOUT
LECTURE
EXHIBITION
RESIDENCY
NEWS
CONTACT



    
   



BOOK


전집 디자인
북노마드 디자인 문고 1

故 최성일, 정재완, 정병규, 안지미, 이승욱, 강찬규… 전집 출판과 북 디자인 통해 한국적 인문학 시대, 한국적 문화출판을 이야기하다!
한대수부터 장기하까지, 걸 그룹부터 인디음악까지 고집 센 현장 비평가가 돌아본 대중음악의 오늘
 

 

 

 

 

 

    - 최성일, 정재완 外 지음
- 120*188
- 162p
- 10,000원
- 2011년 7월 12일
- 978-89-546-1538-9 (03810)
- 031.955.2675(편집) 031.955.1935(마케팅)
         
 

출판이란 세상에 흩어지는 말들을 모으는 것이다

미술, 디자인 등 동시대 시각문화에 대한 인문학적인 사고를 함께 나누기 위한 북노마드 디자인 문고의 첫 책. 출판사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전집(디자인)’의 역사와 의미를 담았다. 시대적 흐름에 따른 ‘문화적 요구’, ‘기술’, 책을 만들어내는 ‘세대’라는 관점 아래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일정한 주제나 분야, 사상 등을 담아온 ‘전집’의 의미를 살펴보고, 전집의 얼굴인 ‘표지 디자인’을 이야기하고 있다. 정병규, 안지미 등 책을 만드는 한국의 대표 북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도 함께 수록했다.

 




출판사 서평


어느 한 출판사가 펴낸 모든 책은 그 출판사의 전집이다

책이란 재미있는 사물이다. 일정한 내용의 글과 이미지를 모아 순서대로 엮어놓으면 스스로 생명력을 얻는다. 한 시대를 풍미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출판사들의 ‘전집 디자인’을 돌아보노라면 자연스럽게 ‘모은다’는 행위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만큼의 의문을 품게 된다. 과연 왜 모을까? 책뿐이 아니라, 여러 가지 사물을 수집하는 행위는 인간의 오랜 습관 중 하나이다. 그중에서도 ‘세상에 흩어지는 말들을 모으는’ 출판이라는 행위는 단연 주목할 만한 모으기일 것이다. 책이라는 사물로 인해 수많은 글과 이미지들은 고유의 생명력을 품게 된다.

여기, 이 땅의 출판 역사를 묵묵히 쌓아온 ‘전집’을 한자리에 모았다. 사람의 얼굴이 당사자의 인품을 대변하는 것처럼 책 내용을 반영하는 ‘표지’를 중심으로 ‘전집 디자인’을 살펴보기 위해 故 최성일(출판평론가), 정재완(북 디자이너, 영남대 교수)의 글과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한국의 전집 디자인을 정착시킨 정병규, 안지미, 이승욱, 강찬규 등 북 디자이너들과의 이야기를 담았다. 각각의 출판사의 역사와 흐름, 그리고 그 맥을 잇는 줄기까지. ‘전집 디자인’이라는 화두는 한국 출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조망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본문 중에서


어느 한 출판사가 펴낸 모든 책은 그 출판사의 전집이다. 사람 얼굴이 당사자의 인품을 일부 대변하는 것처럼 표지는 책 내용을 반영한다. 적어도 텍스트의 정체 혹은 성향의 절반은 표지에 담겨 있다. 이를 파악하는 것은 독자의 능력이다. 표지 감식안이 없으면 표지에 드러난 텍스트의 속내를 읽어내기 어렵다. 출판사가 안정됐다는 것은 신간을 꾸준히 펴내며 잘 굴러감을 뜻한다.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가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이런 출판사들의 출판물은 각기 표지에서 그들만의 독자적인 분위기가 흐른다. 표지만 봐도 어떤 출판사의 책인지 알 수 있을 정도다. 아무리 간행목록이 풍성해도 표지가 들쑥날쑥하고 중구난방인 출판사는 신뢰감이 떨어진다.

전집(全集, complete works)은 크게 개인 전집과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 집으로 나뉜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전집은 “시대, 부문, 사 상, 유파, 국가, 그 밖의 지역 등에 의해 대표적인 저작물을 골라 서 편집하고, 이것을 수 권 혹은 수십 권으로 일정 기간에 걸쳐 간행하는 서적”1이다. 출판·인쇄 용어 사전은 이러한 예로 한국 문학전집, 세계문학전집, 세계사상교양전집 등을 든다. 일반적 의미의 전집은 선집(選集, selected works)에 가깝다. 모든 것을 온전히 모았다는 본뜻에 부합하는 전집은 개인 전집으로나 가능하다. 여전히 문학전집은 일반적 의미의 전집을 대표한다.

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수직으로 우뚝 선 나무는 두께와 무게로 세월을 품고 있다. 나이테에는 켜켜이 오랜 시간이 접혀 있다. 이윽고 나무는 종이가 되면서 얇고 가벼워진다. 수평으로 놓인 종이는 접혀 있던 시간을 하나둘 풀어내며 이야기를 쏟아낸다. 누군가 그 종이를 묶기 시작한다. 시간은 다시 접히고 이야기는 그만의 흐름으로 편집된다. 언제든 시간을 접고 펼칠 수 있는,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모습을 갖춘다. 종이가 ‘책’이 되는 것이다

나무가 책이 되듯, 책은 다시 나무가 된다. 나무가 숲을 만들 듯 책들이 모인 풍경은 울창한 숲과 같다. 공기를 맑게 하고, 거센 바람을 막고, 쉴 그늘을 만들어준다. 그 풍경은 편안하고 자연스럽다. 생각이 깊어지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든다. 내가 지나온 숲에서는 끊임없이 이야기가 자라고 있었다. 누군가가 심어놓은 싹이 자라서 제법 가지도 치고 잎사귀도 달렸다. 그 안에 한국 북 디자인의 한 가지가 자랐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어떤 책을 마주하고 앉았을 때 그냥 거기 있는 책이 있는가 하면, 바쁘게 오가는 책이 있다. 책은 그 자체가 무뚝뚝하고 불친절한 사물이다. 우리는 옷깃을 여민, 단추를 꼭꼭 채운, 속살이라고는 일체 보여주지 않는 경계심 많은 책을 그저 책상 위에, 책꽂이에 두고 있다. 무뚝뚝하고 불친절한 책과 인사를 하고 대화를 나누는 것, 책과 둘도 없는 단짝이 되는 것은 우리의 관심 과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책은 원래부터 ‘거기’ 있다. 가만히 있다. 그래서 아름답다. 바쁘게 왔다 갔다 하는 책은 교활한 속내를 감춘 것 같아서 마음이 편치 않다. 내게 책이 조용하다는 것은 책답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게 뭐냐 하면, 어느 나라든 그 나라의 출판을 지탱하고, 독자를 키우고 훈련시켜서 구매력을 돋우게 하는 것이 있는데, 그게 바로 문고본이에요. 그런데 전집이 문고본의 성장을 짓눌러버렸어요. 문고본이란 것은 기본적으로 내용이 문고본에 맞는 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물질적으로 문고본에 맞게 만드는 것이거든요. 한국문학전집하고 삼중당 문고본하고 내용이 다른 게 아니란 말이죠. 그런데 이왕이면 비싸게 받을 수 있게 만드는 거죠. 이게 앞으로 길게 보면 수십 년 후 한국 출판의 암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어요. 일본의 경우를 보면 단행본 콘텐츠를 문고본으로 만들어서 파는 단계를 지나서 이제는 문고본을 위한 콘텐츠를 기획해서 만드는 단계에 와 있어요. 그런데 우리는 출판을 총체적으로 그런 맥락 속에서 보지 않고 있죠. 그 다음에 이야기할 수 있는 건 속도주의와 획일화 문제를 들 수 있겠죠. 쉽게 말하면 표준 교양, 표준 상식, 나열식······ 뭐 이런 것들. 묘한 한국 문화생산의 어두운 측면이 있죠. - 정병규
 




차례

전집 출판과 북 디자인 최성일

어느 한 출판사의 나무 정재완

인터뷰 “세월을 관통하는 깊이 있는 디자인” 안지미

인터뷰 “디자인, 하나의 그림을 그리는 일” 이승욱

인터뷰 “근본의 발견” 강찬규

인터뷰 “전체 속에서의 부분, 그것과의 새로운 관계” 정병규

 




지은이

최성일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출판저널》 기자, 《도서신문》 기자로 활동하다가 출판 시평과 북 리뷰를 기고하는 출판평론가로 살고 있다. 저서로 『베스트셀러 죽이기』 『미국 메모랜덤』 『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 1~5』 『어느 인문주의자의 과학책 읽기』 등이 있다. 


정재완

전주에서 태어났다.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정병규 디자인, 민음사 출판그룹 사이언스북스에서 북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세 번의 '글자풍경'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북 디자이너이자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대학 조교수로 있다. 


안지미

프랑스 파리 ISCOM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공부했다. 정병규 디자인, 월간 《지오》, 솔출판사에서 디자이너로 일했다. 2003년 작가 이부록과 함께 ‘그림문자’를 설립해 시각 이미지 생산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이승욱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끄레 어소시에이츠에서 북 디자인을 시작했다. 1999년 이후 열린책들, 문학동네, 열림원, 작가정신을 거쳐 현재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강찬규

동아대학교 산업미술과를 졸업했다. 두킴디자인, 호텔 롯데 홍보실을 거쳐 사회평론, 이제이북스, 갈라파고스, 동녘 출판사의 책들을 디자인했다. 넥서스와 다락원 아트 디렉터를 거쳐 현재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정병규

1946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서라벌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고려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했다. 파리 에꼴 에스티엔느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연구한 후 1975년 민음사 편집부장이 되어 1993년까지 민음사의 북 디자인을 진행했다. 1977년 홍성사를 설립, 주간으로 있었다. 현재 정디자인 대표, 한국디자인네트워크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Copyright ©2015 booknomad
All Rights Reserved
Website designed by Eunji 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