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ABOUT |
|
|||||||||||
|
- 이대범 지음 - 110*185 - 392p - 16,000원 - 2013년 12월 31일 - 978-89-97835-44-7 (03600) - 031.955.2675(편집) 031.955.1935(마케팅) |
|||||||||||
미술평론가이자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하는 이대범이 지난 10년 동안 한국 현대미술계를 성찰해온 기록들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안규철, 이동기, 배영환, 정서영, 문성식, 파트 타임스위트 등 한국 현대미술계에서 활동하는 작가들과 대면했던 순간들을 정직하면서도 예민한 시선으로 기록하고 있다. ‘미술적인 것’에 다가가기 위해 그가 작가들에게 지속적 으로 던져온 질문과, 그들이 나눠온 수평적 대화는 “현대미술”에 다가가는 의미 있는 걸 음이 될 것이다. |
||||||||||||
|
||||||||||||
본문 중에서 나는 늘 해찰하기를 좋아했다. 여기를 기웃거리다보면, 저기가 보였고, 저기를 기웃거리다 보면, 거기가 보였고, 거기를 기웃거리다보면 여기가 ‘다시’ 보였다. 걸음은 느렸고, 무거 웠다. 항상 뒤처져 있었다. 시선이 머무는 곳곳이 어두웠다. 드러내기보다는 감추고, 당당 하기보다는 움츠리는 것들로 가득했다. 온몸에 육박하는 자극에 예민해야 했으며, 그들의 반응 하나하나에 조심스러워야 했다. 누군가에게는 그런 행동이 ‘무의미’로 보였나보다. 꾸지람도, 질타도 많이 들었다. 그럼에도 나의 해찰하기는 계속되었다. 왜냐하면 그곳에서 나를 뒤흔드는 ‘의미’들과 접선했기 때문이다. 우글거림이 잠재된 그곳은 매혹적이었고, 아름다웠다. 나의 해찰이 고마웠다.
- ‘작가의 말’ 중에서 대화를 한다는 것은 ‘나’는 ‘너’를 통해, ‘너’는 ‘나’를 통해 자신을 반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은 더 나아가 ‘우리’라는 전체적인 세계를 반성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라는 틀 밖에 있는 ‘그’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이것은 ‘나-너’ 그리고 ‘우리’로 이어지는 틀 안에 갇힌 우리만의 세계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가 존재하는 틀 밖의 세계도 보게 한다. 더 나아가 세계에 대한 총체적인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 ‘나’와 ‘너’를 통한 ‘우리’ 보기-대화로서의 미술적 재현 / 안규철論 서 과거를 완벽하게 재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기에 기록과 유물은 불완전한 재현의 체계를 완성하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역사는 ‘과학’이 아니다. 단지 ‘믿음’에 근거하 고 있을 뿐이다. 역사가는 역사의 흐름에 개연성 있는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사람들에 게 ‘믿음’을 요구한다. 이런 의미에서 조덕현은 역사가이다. 그는 ‘낯선 시간’에 있는 뒤엉 킨 시간의 실타래에서 실을 한 올 한 올 풀어 상호간의 개연성을 생산해내면서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나간다. 빈 공간을 채우고 촘촘히 역사를 꿰맨다. 그렇다면 역사는 허구인가 사실인가. 조덕현은 이러한 질문에 직접적으로 대답하지는 않는다. 그는 역사가 만들어지 는 과정에 있어서 숨겨진 부분까지 드러낸다. 그리고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매장-발굴 그 리고 역사화되는 과정을 보지 않았던가. 그것이 진실이건 거짓이건 역사가 만들어지는 과 정을. 그것으로서 충분한 답이 되지 않았을까. - ‘낯선 시간’에서 끌어올린 역사라는 것-‘발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조덕현論 이동기의 작업에서 모든 경계는 사라진다. 마치 아토마우스가 어딘가를 날아갈 수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제 아토마우스는 아토마우스가 아니다. 이제 우리는 아토마우스의 존재 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하위문화의 충동과 미술 기율에 대한 자의식 어딘가를 서성 이는 아토마우스를 ‘관찰’해야 한다. 거기에 아토마우스, 이동기 그리고 우리가 있다. - 아토마우스는 아토마우스가 아니다 / 이동기論 여러 방식의 작가가 있겠으나, 적어도 나에게는 삶의 세세한 결들을 잘 관찰해내고, 그 안에서 그리고 싶은 소재들을 찾아왔기 때문에 삶에 집중하는 것이 그림을 온전히 그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느꼈다. 무엇을 그릴까 며칠 동안 생각을 골똘히 하는 것 보다 삶 속을 배회하다가 무언가를 만나는 것이 오히려 더 빨리 풍부한 작품의 소재들을 만나게 한다는 것을 깨닫는 시간이었다. 나는 감에 의존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작가인 듯하다. 작업이 나오는 과정은 복합적인 것이다. 경험과 느낌, 논리적 생각, 선입견 이외에 여러 가지 것들이 총체적으로 모여져서 어떤 순간에 외부로 쑤욱 나오는 것 같다. - 인터뷰. 밤을 바라보고 기다리며 노래한다 / 문성식論 |
||||||||||||
8 작가의 말
|
||||||||||||
이대범
|
||||||||||||
|
||||||||||||
|
||||||||||||
|
|
Copyright ©2015 booknomad
All Rights Reserved Website designed by Eunji J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