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UT
BOOK

AUTHOR


SHOP

 

ABOUT
LECTURE
EXHIBITION
RESIDENCY
NEWS
CONTACT



    
   



BOOK


철학의 태도

‘사상의 패배’ 시대에 철학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아즈마 히로키 지음
- 안천 옮김
- 박가분 해제
- 120*188 / 176쪽
- 12,000원
- 2020년 2월 28일
- 979-11-86561-66-9 (03100)
- 010.4417.2905(대표 윤동희)

         
 

“목적에 도달하지 않는 것,
철학은 쓸모없어 보이는 곳에 존재한다”

일본의 사상가 아즈마 히로키 대화집. 『일반의지 2.0』 『약한 연결』 등 아즈마 히로키의 저서를 한국어로 옮긴 연구자 안천이 인터뷰와 번역을 맡았다. 아즈마는 “실천은 하지 않고 말로만 주장하는 철학을 믿어서는 안 된다”고 말문을 연다. 그동안 말로만 무성했던 포스트모더니즘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철학의 ‘태도’라고 강조한다. 실제로 아즈마는 명문대 교수를 벗어던지고, ‘겐론’이라는 출판사를 만들어 같은 이름의 비평지를 간행하고, 시간제한 없는 <철학 토크 콘서트>를 운영하고 있다. 철학의 실천이다. 그는 말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기자 회견, 서명, 데모 등 안전한 방식을 택하고 아무것도 실천하지 않을 때, 그들이 ‘하위문화’에 지나지 않다고 비판하는 운동가들은 해커 커뮤니티, 인터넷 크라우드 펀딩, 오타쿠 커뮤니티를 통해 묵묵히 실천하고 있다고. 우직할 정도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실천을 모색하는 아즈마 히로키와의 대화가 경제 논리에 휘말려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이 땅의 인문학에 작은 도전이 되리라 믿는다. 이 책은 일본의 출판사 겐론에서 일본판으로도 출간될 예정이다

 




출판사 서평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수상,
아즈마 히로키의 ‘철학하는 마음’

아즈마 히로키는 현대사상, 서브컬처, 정보환경 변화 등 포스트모던 현상이 두드러진 영역에 주의를 기울여왔다. 아즈마는 한국에서 서브컬처 비평가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2010년대에 들어, 특히 동일본 대지진 후 “이제 서브컬처 비평은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른바 세대교체다. 2010년을 전후해 일본 평론계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아즈마는 윗세대가 되고 말았다. 이런 변화 속에서 가치 전도를 목적으로 한 서브컬처론, 즉 젊은 문화론은 아즈마의 역할이 아니었다. 아즈마는 ‘가치 전도’가 아니라 ‘가치 설정’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애니메이션, 게임, 인터넷이 만연한 일본 사회에서 ‘새로운’ 가치관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맞춘 것이다.

아즈마는 출판사 ‘겐론’의 편집장이다. 2013년까지는 와세다 대학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러나 지금 아즈마는 대학을 버리고 출판사를 거점 삼아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아즈마의 선택은 시의적절하다. 실제로 대학은 서서히 붕괴되고 있다. 철학은 ‘대학이라는 제도에서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절실하다. 철학은 본래 직선적으로 발전하는 지식이 아니다. 플라톤을 데카르트가 극복하고, 데카르트를 칸트가 극복하고, 칸트를 하이데거가 극복하며 지금의 철학이 존재한 게 아니다. 아즈마의 해답은 ‘고전’이다. 한 사람의 아마추어로 되돌아가기, 철학의 원리는 고전을 읽을 때 분명해진다. 아즈마가 경제 논리 ‘바깥’에 ‘스스로’ ‘공간’을 차린 이유다. 아즈마에게 출판사 겐론과 겐론 카페는 철학의 원점에 가까워지는 길이다.

출판사 겐론, 겐론 카페
철학의 원점에 가까워지기

아즈마는 2013년 ‘겐론 카페’를 만들었다. 겐론 카페를 하면서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술을 마시며 대화를 나누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 철학의 기원이다. 그래서일까. 겐론 카페는 시간제한이 없다. 시간이 여유 있게 주어질 때, 기왕이면 알코올이 있을 때, 준비해온 이야기가 바닥이 났을 때 대화가 시작된다는 아즈마의 신념 때문이다.

아즈마의 사상을 이해하려면 ‘관광’이라는 개념이 필수다. 『일반의지 2.0』 이후 아즈마는 『약한 연결』과 『관광객의 철학』에서 ‘관광’을 키워드로 대두시켰다. 일반적으로 관광은 중요하지 않은 행위다. 관광하는 사람은 자기가 가는 곳, 곧 관광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러 가지만, 실제로는 그곳에서 뜻하지 않은 일이 일어난다. 그런 오차가 반드시 섞여 있다. 정보의 세계에서는 닫혀 있어서 안심하고 관광을 떠나지만, 떠나보면 관광지는 현실계여서 뜻밖의 일이 일어난다. 그런 ‘어긋남’이 있다. 아즈마는 ‘관광’이라는 화두를 어긋남, 즉 ‘오배(誤配)’와 연결시킨다.

아즈마에게 ‘오배’란 이용자 본인이 평소에는 접할 일이 없는 정보와 접촉하는 것이다. 아즈마는 『존재론적, 우편적』에서 ‘오배’는 ‘네트워크 효과’의 측면이 강해서 인간이 수동적으로 수신한다고 보았다. 반면 『약한 연결』에서는 ‘오배’로서의 ‘관광’을 논함으로써 인간의 행위로서의 ‘오배=관광’ 측면을 부각시켰다. ‘관광’을 오배의 능동적 실천으로 해석한 것이다. 생각의 변화는 인터넷 때문이다.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인간은 한 번만 클릭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고 다 아는 듯한 착각에 빠졌다. 원하는 지식을 얻으려고 시행착오를 거치고 뜻밖의 일을 겪을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오배가 일어나지 않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아즈마는 ‘능동적 오배’를 주장한다. ‘오배가 일어나는 영역’에 철학의 본질이 있다고 믿는다. 아즈마는 ‘목적 없이’ 떠나는 관광을 제안한다. 현지에서 비어 있는 시간 갖기, 우연히 만난 사람의 안내 받기, 우발적 요소를 도입하기. 아즈마는 이 ‘어긋남’을 ‘관광객적’이라고 부른다. 아즈마가 비판을 무릅쓰고 후쿠시마에 ‘관광’을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겐론과 겐론 카페를 통한 아즈마의 ‘쓸모없어 보이는’ 실천, 플랫폼과 메커니즘으로 바라보는 미래의 인문학,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지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실천하는 철학자의 의무. 『철학의 태도』는 ‘사상의 패배’ 시대에 철학이 해야 할 일을 묻고 답한다.

 

 

본문 중에서

 

철학은 ‘대학이라는 제도 내에서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대두될 것이다. 철학은 본래 직선적으로 발전하는 지식이 아니다. 플라톤을 데카르트가 극복했고, 데카르트를 칸트가 극복했으며, 칸트를 하이데거가 극복하면서 지금의 ‘최첨단’ 철학이 존재하는 게 아니라는 말이다. 철학을 배우려면 고전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렇다면 전문 교육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전문가는 다양한 선행 연구를 알고 있다. 그러나 이조차도 선행 연구를 전부 파악하는 것이 아니다. 누구든지 고전을 읽을 때는 한 사람의 아마추어로 되돌아간다. 철학은 원리상 전문 교육과 맞지 않다.

겐론 카페를 하면서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술을 마시며 대화를 나누었다. 여기에 ‘철학의 기원’이 있다. 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사람들과 멋대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을 만드는 것, 그것이 철학적 사유의 원점이다.

현실 공간과 정보 공간을 접맥시키는 방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일반적으로 관광은 중요하지 않은 행위다. 관광하는 사람은 자기가 가는 곳, 곧 관광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러 가지만, 실제로는 그곳에서 뜻하지 않은 일이 일어난다. 그런 오차가 반드시 섞여 있다. 정보의 세계에서는 닫혀 있어서 안심하고 관광을 떠나지만, 떠나보면 관광지는 현실계여서 뜻밖의 일이 일어난다. 그런 ‘어긋남’이 있다.

일본에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편 가르기가 만연하다. 인터넷, 특히 SNS를 통해 또렷하게 편을 가르는 시대가 되었다. 편 가르기 사고방식이 커지는 시대에 대항하는 인문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한 현실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기초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대학교수를 그만두었고 텔레비전에도 나가지 않았다. 대중을 상대로 주장을 펼치면 어느 진영인지 말해야 한다. 결국 스스로 대안 공간을 만들어 조금씩 키워가는 방법밖에 없었다.

인터넷이 등장하고 사람들은 오배와 멀어졌다. 한 번만 클릭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고 아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시행착오를 거치고 뜻밖의 일을 겪을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그 가능성을 늘리고 싶은 것이 나의 철학이다. 겐론 카페는 쓸모없는 것으로 가득하다. 겐론 카페에서 나누는 얘기는 잡담이다. 그 쓸모없는 정보가 사람들에게 뜻밖의 사고를 자극하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것을 낳는다.

인문학은 게임, 라이트노벨, 만화를 통해 새롭게 나타난 소비 행동과 소비 양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보지 못한다. 인문학은 콘텐츠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정보기술과 관련된 현상은 콘텐츠가 갖는 의미가 없다. 플랫폼의 혁신,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혁신이 핵심이다. 그 메커니즘에 흥미를 느끼는 감성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 미래의 인문학을 고민한다면 ‘플랫폼’과 ‘메커니즘’으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

나는 중심에 위치하겠다는 생각이 없다.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지점에 있고 싶다. 철학자란 그런 존재가 아닐까. 좌우 양극 어디도 아닌 지점, 아군도 적군도 아닌 지점. 실천하지 않고 말로만 주장하는 철학을 믿어서는 안 된다. 지금 우리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어떻게 실천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해커들의 커뮤니티, 인터넷의 크라우드 펀딩, 오타쿠 커뮤니티. 그런 실천은 하위문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차례

대화를 시작하며                                          6

0. 서브컬처 비평에서 ‘일반의지 2.0’까지       8
- 아즈마 히로키 사상의 안과 밖
1. 대학을 뛰쳐나와 출판사를 만들다              55
2. 『일반의지 2.0』을 되돌아보다                   69
3. 동일본 대지진에 대하여                           79
4. ‘오배’에서 ‘관광’으로                               93
5. 사상의 패배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근대적 주체가 될 수 없는 시대의 주체           109
6. 콘텐츠에서 메커니즘으로                         123
7. 근대화의 변경에서                                  137

해제
아즈마 히로키와의 만남                              147



지은이

아즈마 히로키 東 浩紀

1971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도쿄대학 교양학부 교양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솔제니친 시론」으로 비평가로 등단했다. 도쿄공업대학 세계문명센터 특임교수, 와세다 대학 문학학술원 교수로 재직했다. 2013년 와세다 대학 교수를 끝으로 대학을 떠나, 잡지 《겐론》을 발행하는 출판사 ‘겐론’의 편집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존재론적, 우편적』 『우편적 불안들』『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퀀텀 패밀리즈』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일반의지 2.0』 『약한 연결』 『관광객의 철학』 등이 있다. 1999년 『존재론적, 우편적』으로 제21회 산토리 학예상, 2010년 『퀀텀 패밀리즈』로 제23회 미시마 유키오상, 2015년 『약한 연결』로 기노쿠니야 인문대상, 2017년 『관광객의 철학』으로 제71회 마이니치 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옮긴이

안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현대 일본문학을 전공했다.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대 일본의 새로운 ‘계급’을 둘러싼 지적 지형도」 「‘소설의 종언’ 이후의 일본 소설론」 「대전환의 예감, 보이지 않는 윤곽」 등의 글을 통해 아즈마 히로키를 논했다. 옮긴 책으로 『일반의지 2.0-루소 프로이트 구글』(아즈마 히로키) 『약한 연결』(아즈마 히로키) 『이 치열한 무력을』(사사키 아타루) 『야전과 영원』(사사키 아타루) 등이 있다.

 



 

 

     

 

 

Copyright ©2015 booknomad
All Rights Reserved
Website designed by Eunji Jo